전략과제 | 세부과제(실행과제) | 1단계(2011~2013년) | 2단계(2014~2016년) | 3단계(2017~2020년) |
---|---|---|---|---|
SI-1. 글로벌 역량 강화 |
AI-1. 국제교류 프로그램 확대 |
국제교류 프로그램
다양화 및 지원체계 강화 |
국제 공동학위
프로그램 활성화 외국인 학생 유치 확대 |
교수·학생
국제교류 확산 |
AI-2. 다문화·다언어 교육 확대 |
글로벌 외국어 및
다문화 교육체제 기반 마련 |
글로벌 외국어 및 다문화
교육시스템 운영 및 확산 |
||
AI-3. 외국인 전임교원 확보 |
외국인 전임교원
충원 기반 확충 계획 수립 |
외국인 전임교원 지속적 충원
및 지원체계 강화 |
||
SI-2. 취업·진학 경쟁력 강화 |
AI-4. 취업률 제고 |
수요자 중심의
취업 지원 프로그램 체계화 |
취업 지원 프로그램 활성화
및 효과 극대화 |
|
AI-5. 진학·진로 기반 교육 강화 |
전공·진로 지도체계 확충
|
전공 교육과 진로의 연계성 강화
|
||
AI-6. 현장중심 산학협력 증대 |
현장중심 교육과정
개발·운영 및 기업 네트워크 구축 |
현장중심 프로그램 활성화
및 기업네트워크 확대 |
||
SI-3. 교육 경쟁력 강화 |
AI-7. 교양교육 선진화 |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 프로그램 재구축 |
선도적 교양교육 프로그램 운영 및 확산
|
|
AI-8. 전공교육 특성화 |
공통 프레임
워크기반 확충 특성화 기반 조성 |
전공별 경쟁력 강화
특성화 학과의 집중적 지원 |
||
AI-9. 교육과정 브랜드화 |
교육과정 브랜드화
기반 마련 |
브랜드 교육과정
국내확산 |
브랜드 교육과정
글로벌화 |
|
AI-10. 교육 평가시스템 활성화 |
교육평가시스템
시스템 구축 |
교육평가시스템
운영 및 보완 |
고품질 교육평가
시스템 확대운영 |
|
SI-4. 수요변화 대응체제 강화 |
AI-11. 학문 융복합 활성화 |
융복합 학제 구축
기반 연구 및 활성화 |
다양한 융복합 학제과정 운영 및 활성화
|
|
AI-12. 평생교육 확대 |
수요중심의
평생대학 운영체계 마련 |
수요중심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지역 주요 평생교육기관으로의 도약 |
평생교육 체제 및
지역 평생교육 우수기관 모델 확립 |
|
SI-4. 수요변화 대응체제 강화 |
AI-9. 교육과정 브랜드화 |
교육과정 브랜드화
기반 마련 |
브랜드 교육과정
국내확산 |
브랜드 교육과정
글로벌화 |
SI-5. 경영시스템 강화 |
AI-13. 전략 경영 체계 구축 |
책임경영체계구축
기반마련 |
단계적 책임경영체계 확산
|
|
AI-14. 행정 프로세스 개선 |
행정프로세스 진단 및 효율화
|
|||
AI-15. 행정역량 강화 |
현행 인사제도 진단 및 제도 개선
|
전문 행정인력
지원체계 구축 및 인력수급관리 강화 |
인사운영 효과성
평가 및 재설계 |
|
AI-16. 성과관리체계 운영 |
교직원 성과관리체계 구축 및 시행
|
성과관리체계 고도화 및 개선
|
||
SI-6. 캠퍼스 환경 선진화 |
AI-17. 캠퍼스 마스터플랜 구축 |
캠퍼스 마스터플랜
구축 |
캠퍼스 마스터플랜
실행 |
지속적인 캠퍼스
마스터플랜 실행평가 |
AI-18. 공간 확충 및 재배치 |
교육·연구·실습 주요 우선 정비 교육시설
현대화 및 공간활용 극대화 방안 마련 |
공간 추가확보 전략 수립 및 지속적인 교육시설 현대화 추진
|
지속적인 교육환경
개선 실행 |
|
AI-19. 스마트 에코 캠퍼스 구현 |
스마트 에코캠퍼스
구현 전략 및 인프라 계획 수립 |
모바일 캠퍼스를
위한 통합 관리체계 수립과 캠퍼스 환경 구축 |
스마트 에코캠퍼스 및 열린 캠퍼스 확산
|
|
SI-7. 재정안정성 확보 |
AI-20. 발전기금 모금활동 강화 |
발전기금 모금
전략수립 |
상시 기부금 모금체제 운영 및 모금 활성화 방안마련
|
모금 성과평가 및
전략 수정 |
AI-21. 자금 운용 능력 강화 |
자금 운용 조직 및
전략 수립 수익사업 계획수립 |
전문적인 자금 운용 및
지속적인 수익사업 추진 |
||
AI-22. 정부재정지원 수혜 확대 |
재정지원사업 선정을 위한 대학경쟁력 분석 및 대응전략 수립
|
재정지원사업 지원 선정 및
성과창출 지속화 방안 마련 |
||
SI-8. 핵심 조직 기능 및 홍보 기능 강화 |
AI-23. 핵심 업무 수행 조직 운영 |
핵심업무 분석 및
수행 조직의 강화 |
핵심업무 조직의 운영 및
선순환적인 지원체계 구축 |
|
AI-24. 홍보 강화 |
맞춤형 홍보전략 수립 및 홍보조직 구축
|
맞춤형 홍보전략 실행 및
핵심브랜드 가치 제고 |
||
SI-9. 학생활동지원 강화 |
AI-25. 취업활동 지원 강화 |
취/창업 학생활동
지원제도 재정비 |
취업 지원제도 활성화 및 취업지원 인프라 구축
|
취업 지원제도 선진화
|
AI-26. 학생지도선진화 |
통합 학생지도
인프라 및 프로그램 지원체계 구축 |
통합 학생지도
인프라 및 프로그램 지원체계 완성 및 활성화 |
학생지도선진화 모델 완성 및 확산
|
|
AI-27. 사회봉사 및 비교과 활동지원 |
국·내외 체험학습 및 봉사활동 지원 확대
|
사회봉사 프로그램 다양화 및
국·내외 네트워크 확대 |
||
SI-10. 교직원 역량 강화 |
AI-28. 교육역량 강화 |
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로드맵 개발
|
교육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
교육 역량강화
성과점검 및 확산 |
AI-29. 연구역량 강화 |
연구 활성화를 위한 기반 재구축
|
연구자 중심의 연구지원 시스템 구축 및 지속적인 성과창출 운영
|
||
AI-30. 학생생활 지도능력 강화 |
학생생활지도/상담 능력 강화 로드맵 개발
|
학생생활지도/상담 능력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학생 지도능력 강화를 위한 지원체계 확립 및 운영
|
|
AI-31. 직무역량 강화 |
직무 역량 강화
로드맵 개발 |
직무 역량 강화
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 |
직무역량 체계 확립
및 점검 |
|
SI-11. 구성원 복지 강화 |
AI-32. 학생복지 확대 |
학생지원 인프라
확충/구축 |
학생, 졸업생 학부모 서비스 확대
|
학생복지 만족도 극대화
|
AI-33. 장학금 확대 |
장학재원 확보를 위한 적극적이고
다양한 방안 마련 및 지속적 운영 |
|||
AI-34. 교직원 복지 확대 |
교직원 복지프로그램 및 근무환경 개선
|
복지 시설 및 지원체제 선진화
|
||
SI-12. 지역사회와의 유대강화 |
AI-35. 지역사회 연대 인프라 구축 |
지역사회 연계
네트워크 구축 |
지역사회 연대
프로그램 사업선정 및 운영 |
지역연계
프로그램 사업 /위탁운영사업실행 확대 |
AI-36. 지역사회 서비스 강화 |
지역사회 서비스 프로그램 개발
|
지역사회 서비스 프로그램 운영 및 확대
|
지역사회 제공
서비스 강화 및 지역대학으로서의 위상 확보 |
|
AI-37. 인근기관과의 유대강화 |
인근기관과의
협력네트워크 구축 및 교류 기반마련 |
인근 기관(대학) 협력 프로그램 개발 운영
|
인근 기관과의
협력체계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