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목표
- 지역사회의 다양한 사회문화 콘텐츠를 선별, 취합, 조합, 분류하여 특별한 의미를 부여한 후 가치를 재창출할 수 있는 종합적인 콘텐츠 큐레이션이 가능한 정보전문가 양성
전공소개
최신 정보통신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으로 많은 양의 데이터 및 콘텐츠를 빠른 속도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졌으며 국가 주도로 시작된 데이터 및 콘텐츠 관련 산업의 발굴 및 개발은 현재 민간까지 확대되어 공공뿐만 아니라 일반 기업에서도 데이터 및 콘텐츠를 기획, 생산, 가공, 관리, 유통, 활용하는 체계와 시스템에 많은 관심을 두고 있다. 또한 공공성을 갖는 사회·문화 기관의 콘텐츠를 타겟 이용자에게 전달하는 서비스에 대한 사회적인 요구도 높아지고 있는 현실이다.
국가 정책에서 강조되는 콘텐츠 산업; 콘텐츠 산업 3대 혁신전략(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20) 중심으로 콘텐츠 산업 3대 혁신전략에서는 2022년까지 매출 153.8조 원, 수출 134.2억 달러, 고용 70만 명, 1,000억 원 이상 기업 2,000개 확보 등을 위한 구체적인 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새로운 유형의 콘텐츠 개발도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산업 수요 요구를 만족하여 사회·문화콘텐츠 큐레이션 마이크로전공을 통해 지역사회의 다양한 사회문화 콘텐츠를 선별, 취합, 조합, 분류하여 특별한 의미를 부여한 후 가치를 재창출할 수 있는 종합적인 콘텐츠 큐레이션이 가능한 정보전문가를 양성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