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도 교과과정
학년 학기 학수
번호
이수
구분
교과목명 학점 시간 과목구분 비고
1 1 KL02002 전필 한국문학개론
Introduction to Korean Literature
3 3 이론 •복수전공필수
•부전공필수
•교직기본과목
1 KL03032 전선 국어국문학입문세미나
Introduction to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1 1 이론 •전공진로탐색과목
•P/F 평가
1 KL03011 전선 현대문학과 인문학적 상상력
Korean Modern Literature and Humanistic Imagination
2 2 이론
2 KL03002 전선 현대시 작품 읽기
Reading in Korean Modern Poetry
3 3 이론
2 KL03012 전선 한국어교육과 한자
Studies in Korean Chinese Character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2 2 이론
2 KL02003 전필 한국어학입문
Introduction to Korean Linguistics
3 3 이론 •복수전공필수
•부전공필수
•교직기본과목
2 1 KL03019 전필 한국문학사Ⅰ
History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3 3 이론 •복수전공필수
•부전공필수
•교직기본과목
1 KL02004 전선 한문학 작품 읽기
Reading in Korean Chinese Lettered Literature
3 3 이론
1 KL03003 전선 현대소설 작품 읽기
Reading in Korean Modern Novel
3 3 이론
1 KL03005 전선 현대시와 서정문화
Korean Modern Poetry and Lyric Culture
3 3 이론
1 KL02008 전선 고전시가의 세계
Korean Classical Poetry
3 3 이론
1 KL03015 전선 한국어교육개론
Introduction to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3 3 이론
2 KL03021 전필 한국문학사Ⅱ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3 3 이론 •복수전공필수
•교직기본과목
2 KL03004 전선 구비문학의 세계
Korean Oral Poetry
3 3 이론
2 KL02007 전선 한국어자모교육론
Education theory of Korean writing system
3 3 이론 •격년개설
(짝수년)
3 1 KL02006 전선 한국어 발음교육론
Studies on Teaching Pronunciation in Korean
3 3 이론
1 KL02009 전선 한국어 문법교육론
Studies in Teaching Grammar of Korean Language
3 3 이론
1 KL02011 전선 고전문학 작품 읽기
Readings in Classical Korean Literature
3 3 이론
1 KL03022 전선 현대시인론
Study of Modern Poets
3 3 이론
1 KL03023 전선 국어교육론
Teaching Methods for Korean Education
3 3 이론 •교직기본과목
1 KL03026 전선 교과교육론(국어)
Teaching Mothods for Subject Matters
3 3 이론 •교직필수과목
2 KL02014 전필 한국어사
History of Korean Language
3 3 이론 •복수전공필수
•부전공필수
•교직기본과목
2 KL02015 전선 고전산문의 세계
Korean Classical Prose
3 3 이론
2 KL02016 전선 현대비평의 이론과 실제
Seminar in Korean Modern Literary Criticism
3 3 이론
2 KL03006 전선 현대소설과 서사문화
Korean Modern Novel and Narrative Culture
3 3 이론
2 KL03024 전선 표현교육론
Teaching Methods for Expression
3 3 이론 •교직기본과목
2 KL03027 전선 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국어)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s for Subject Matters
3 3 이론 •교직필수과목
2 KL03007 전선 고전문학과 영상
Claasical Korean Literature and Visual Media
3 3 이론
3,4 1,2 KL03036 전선 한국어교육실습
Practice of Korean Language Classrooms
3 3 이론 •석사학위연계
1 KL03034 전선 한국어교육과정론
Studies on Curriculum Design in Teaching Korean
3 3 이론 •격년개설
(짝수년)
2 KL03033 전선 말뭉치언어학
Corpus Linguistics
3 3 이론 •격년개설
(짝수년)
2 KL03035 전선 초급한국어교수론
Studies in Teaching elementary Korean
3 3 이론 •격년개설
(홀수년)
4 1, 2 KL03031 전필 졸업인증
Graduation Certification
0 0 이론
실습
•복수전공필수
•부전공필수
•졸업인증과목
•P/F 평가
1 KL02018 전선 한국어 어휘교육론
Studies in Teaching Lexicology of Korean
2 2 이론
1 KL03001 전선 글로컬 현대문학과 문화
Glocal Modern Literature and Culture
3 3 이론
1 KL03013 전선 한국어 기능교육론
Studies in Teaching Functions of Korean Language
3 3 이론 •격년개설
(홀수년)
1 KL03014 전선 문학치료론
Literary Therapy
3 3 이론
1 KL03028 전선 논리 및 논술(국어)
Logic and Discourse
2 2 이론 •교직필수과목
2 KL03025 전선 문학교육론
Teaching Methods for Literature
3 3 이론 •교직기본과목
2 KL03029 전선 응용언어학
Applied Linguistics
3 3 이론 •격년개설
(홀수년)
총 102학점 (전필 15학점, 전선 87학점) / (복필 15학점, 부필 12학점)

교과내용

1학년 교과내용

KL02002 전필 한국문학개론

국문학의 각 장르(시가, 소설, 설화, 희곡, 평론, 수필 등)들의 공시적 이해를 돕기 위한 과목이다.

KL03032 전선 국어국문학입문세미나

국어국문학과에서 배우는 국어학, 현대문학, 고전문학에 대한 이해를 도와 국어국문학 전공에 대한 학습 동기를 부여하고, 다양한 전공 실무 영역에서 일하는 전문가들의 특강과 이에 대한 질의응답을 통해 학생들이 장래 직업 및 진로를 탐색하는 데 도움을 준다.

KL03011 전선 현대문학과 인문학적 상상력

한국 현대문학 작품 중 시와 소설 분야의 중요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세밀하면서도 체계적인 분석을 한다. 이를 통해, 현대문학 연구에 필요한 기본적인 이론과 작품분석방법론을 익힘으로써, 앞으로 현대문학을 연구함에 있어서 기초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KL03002 전선 현대시 작품 읽기

현대문학사의 중요 시작품을 읽어감으로써 작품분석의 안목을 높이고 비평적 감수성을 기른다.

KL03012 전선 한국어교육과 한자

공동문어로서의 한문의 기능을 알고 한문으로 기록되어 있는 우리 문학유산을 읽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는 초보자 과정으로서 기초한자와 간단한 한문문장을 중심으로 공부한다.

KL02003 전필 한국어학입문

한국어학의 학문적 성격, 연구영역, 연구방법, 연구과제 등을 여러 부문에서 개략적으로 고찰하는 입문교과이다. 한국어를 특정한 층위에서 연구하는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의미론과 총체적 층위에서 연구하는 방언론, 문자론, 계통론, 한국어사 등에 관해 개략적으로 교수함으로써 한국어를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게 한다.

2학년 교과내용

KL03019 전필 한국문학사Ⅰ

한국 문학의 발생부터 갑오경장 전후 개화기 문학 이전까지의 한국문학의 장르, 작가, 작품을 통시적, 공시적으로 관찰하여 그 문학사적 위치를 안다.

KL02004 전선 한문학 작품 읽기

한국 고전문학 작품 중에서 한문으로 기록되어 전하는 중요한 작품의 원전을 읽을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여 문학연구 대상의 폭을 넓힌다.

KL03003 전선 현대소설 작품 읽기

현대문학사의 중요 소설작품을 읽어감으로써 소설을 보는 눈을 기르고 작품의 변천과정을 이해한다.

KL03005 전선 현대시와 서정문화

시의 일반 이론을 바탕으로 장르적 특질과 구성 요소, 유형별 특징 등을 이해한다.

KL02008 전선 고전시가의 세계

한국 고전시가 일반의 갈래, 작가, 작품 및 문학사적 성격에 대해 깊이 있게 이해한다.

KL03015 전선 한국어교육개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 관련된 개괄적인 내용을 강의하고 소개한다.

KL03021 전필 한국문학사Ⅱ

영/정조시대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 근대문학의 전개양상과 특징을 사적으로 고찰하여 문학이 갖는 시대성, 사회성 등을 이해한다.

KL03004 전선 구비문학의 세계

설화, 민요, 판소리, 민속극 등의 기원과 전승과정 및 각 양식의 성격에 대해 고찰한다.

KL02007 전선 한국어자모교육론

한국어의 자모 즉 한글의 특성과 원리에 대해 체계적으로 학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교과목이다. 한글의 창제과정과 원리, 통시적인 변천과정 등을 역사적인 자료 등을 통해 이해하여 자모교육을 위한 심화된 전공지식 습득을 추구한다. 한국어사를 이해하기 위한 선수과목이다.

3학년 교과내용

KL02006 전선 한국어 발음교육론

한국어의 음성과 음운분석의 이론을 바탕으로 음운목록과 음운체계를 확인하고 음운과정의 특성에 대해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올바른 한국어의 발음에 대해 학습함으로써 한국어 발음교육의 원리와 방법에 대해서도 학습하게 한다. 한국어사를 이해하기 위한 선수과목이다.

KL02009 전선 한국어 문법교육론

한국어의 구조와 그 구성요소의 특질을 형태, 통사, 담화의 층위에서 고찰하고 이러한 제반 특성들을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어떻게 가르칠 것인지를 이론과 실제 양 측면에서 모색한다.

KL02011 전선 고전문학 작품 읽기

한국문학 중 개화기문학 이전의 중요한 문학작품 및 이론을 읽어냄으로서 작품분석과 이론심화를 갖춘다.

KL03022 전선 현대시인론

한국 현대시의 주요작품과 시인을 중심으로 작품의 주제와 형식미의 특성 등을 통하여 작품의 이해와 접근방 법을 교육한다.

KL03023 전선 국어교육론

국어교육의 연구 대상과 방법, 영역 등에 대한 학문적 체계를 이해하는 것을 기본적인 목표로 한다. 이와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국어교육의 이론과 역사적 배경, 국어교육의 목표, 중?고등학교의 국어과 교육과정 및 내용 등에 대해 공부한다.

KL03026 전선 교과교육론(국어):교직필수

국어교육의 영역별 교수학습 내용과 방법, 평가 등에 대한 이론들을 이해하고, 실제 교실 수업에 적용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즉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국어지식, 문학의각 영역별 목표와 교수학습 내용과 방법, 평가 등에 대해서 이해하고 실제 교수학습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KL02014 전필 한국어사

한국어의 통시적 변화에 대해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과목이다.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어에 나타난 모든 변화를 음운, 형태, 어휘, 통사, 의미의 측면에서 검토함으로써 현대 한국어의 형성과정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추구하는 필수 과목이다.

KL02015 전선 고전산문의 세계

조선조 소설 문학의 중요한 작가와 작품에 대한 문학사적 의미를 파악하고 학생들이 직접 이들 작품에 접하여 구조분석을 통한 이해의 심화를 갖도록 한다.

KL02016 전선 현대비평의 이론과 실제

문예비평의 일반적인 지식과 한국 신문학에 있어서의 문예비평의 양상을 살피며, 비평의 일반이론과 한국 문예비평의 전개과정을 고찰한다.

KL03006 전선 현대소설과 서사문화

소설의 일반 이론을 바탕으로 장르적 특질과 구성 요소, 유형별 특징 등을 이해한다.

KL03024 전선 표현교육론

말하기와 쓰기를 중심으로 한 표현 활동에 대해 살펴보고, 표현교육의 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말하기와 쓰기의 전략과 방법에 대한 이론을 살피고, 이와 함께 인간의 사고 과정과 표현의 관계를 탐구하여 표현 활동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와 실천적 적용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KL03027 전선 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국어):교직필수

국어교육의 성격, 중고등학교 교재의 분석, 수업안의 작성, 교수방법 등 국어와 지도의 실제 경험을 쌓게 한다. 국어와 교재를 분석하고 재구성함으로써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교재개발 능력을 함앙하며, 교수?학습 방법을 효과적으로 개발 적용하는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KL03007 전선 고전문학과 영상

고전문학의 여러 속성 및 요소들 가운데 특히 시각언어에 주목하여 오늘날의 영상문화와의 관련을 탐색한다. 아울러 무의식의 언어가 시각언어인 점도 주목하여 새로운 가능성들을 모색한다.

3,4학년 교과내용

KL03036 전선 한국어교육실습

국내 혹은 국외에서 한국어교육을 실습한다.

KL03034 전선 한국어교육과정론

교과서 편찬, 수업 및 평가 등 한국어교육 전 분야의 기반이 되는 교육과정 이론을 학습함으로써 한국어교육 현장을 이해하고 나아가 실제 교육과정을 편성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

KL03033 전선 말뭉치언어학

말뭉치 즉 전산으로 구축된 대규모 언어자료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을 키운다.

KL03035 전선 초급한국어교수론

한국어에 대한 기본적인 전공지식을 바탕으로 초급 단계의 한국어교수법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하는 교과목이다. 초급과정의 외국인들에게 효과적인 한국어 교수법에 대한 다양한 접근방안을 살펴 체계적인 교수안을 습득하도록 한다.

4학년 교과내용

KL03031 전필 졸업인증

국어국문학과 졸업 예정자는 ①평균 평점 3.8 이상 획득 ②한국어 능력 시험에서 내국인학생은 KBS 한국어진흥원주관 “KBS한국어능력시험:700점 이상”, 외국인학생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주관 “한국어능력시험(TOPIK) 5급 이상” 획득 ③한자능력 검증시험 3급 이상 획득 ④영어 TOEIC 700점 이상 획득 ⑤각종 경시 대회 수상경력 5가지 항목 중 한 항목 이상의 기준을 반드시 충족시켜야만 졸업인증을 받을 수 있다. 이 과목은 4학년 1, 2학기에 개설되며, P/F로 평가된다(2011학번부터 적용).

KL02018 전선 한국어 어휘교육론

한국어의 어휘 구조를 파악하고 이러한 바탕 위에서 한국어학습자들의 한국어 어휘능력 제고를 위한 방법들을 이론과 실제 양 측면에서 학습하고 훈련한다.

KL03001 전선 글로컬 현대문학과 문화

일관된 주제에 의하여 한국의 중요한 작가의 작품을 연구하여 실제적인 논문을 작성할 수 있도록 강의한다.

KL03013 전선 한국어 기능교육론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표현과 이해 능력 즉 말하고 듣고 읽고 쓰는 제반 능력을 높이기 위한 교수와 학습방법을 이론과 실제 양 측면에서 다룬다.

KL03014 전선 문학치료론

문학을 통한 인간의 심리적, 정신적 장애 치료 가능성과 사례를 공부하고, 실제로 문학을 통한 임상치료가 가능한가를 확인한다.

KL03028 전선 논리 및 논술(국어):교직필수

논술교육의 개념, 성격, 목표, 교수학습과 평가방법 등을 다루고,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논술지도능력, 문학제작 및 평가능력을 기른다.

KL03025 전선 문학교육론

문학교육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목적으로 문학교육의 방법을 구명하고 올바른 방향과 기능을 탐색한다.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방안을 모색한다.

KL03029 전선 응용언어학

전산언어학, 언어치료, 심리언어학 등 응용언어학 제 분야를 개괄적으로 학습함으로써 언어학과 실제 생활의 관계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