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 최소 단위의 실무형 단기 교육과정입니다.
  • 사회수요에 맞춘 기술이나 실제적인 실무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역량기반 교육으로, 새로운 지식을 단기간에 습득할 수 있습니다.
  • 학사학위와 별개로 해당 교육 경험에 대한 경쟁력을 갖추었다고 인정하는 미니 학위와 인증서(이수증)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설치전공
전공명 참여전공
글로벌 디지털 비즈니스 일어일문학과
사회·문화콘텐츠 큐레이션 문헌정보학과
데이터 리터러시 문헌정보학과
사례관리 사회복지학과
아동·청소년복지 사회복지학과
정원 디자인 원예생명조경학과
생태기후학 생명환경공학과
바이오푸드시스템 식품공학과
식품 안전 식품공학과
스마트 영양관리 식품영양학과
바이오메디컬 뉴트리션 식품영양학과
비즈니스 데이터분석 경영학과
O2O 비즈니스 경영학과
개인정보 보호 지능정보보호학부
리빙 디자인 공예전공
인터랙티브 전시/체험 콘텐츠 메타버스융합콘텐츠전공
보조생식기술 바이오헬스융합학과
패션 콘텐츠 아카이빙 패션산업학과
융합 디지털 문학치료 국어국문학과, 데이터사이언스학과, 예술심리치료전공
디지털 한국학 국어국문학과, 첨단미디어디자인전공
디지털 아동심리 아동학과, 소프트웨어융합학과
문화예술행정 현대미술전공, 행정학과
인공지능 기초수학 수학과, 소프트웨어융합학과,
지능정보보호학부, 데이터사이언스학과
품질분석 실무 화학과, 식품공학과, 바이오화장품공학전공
나노응용 신소재 식품공학과, 화학과
식품개발 실무 식품공학과, 식품영양학과
미생물산업 실무 생명환경공학과, 식품공학과
컨버전스 아트 현대미술전공, 시각디자인전공,
공예전공, 첨단미디어디자인전공
사회혁신 SI교육센터
융합 데이터 분석 경영학과, 데이터사이언스학과, 디지털융합경영전공
K-문화상품 스토리텔링 국어국문학과, 산업디자인학과, 공예전공, 문예창작전공
공공기관 경영관리 행정학과, 경영학과
공공 디지털 혁신 경제학과, 행정학과
신청자격 및 시기
  • 3학기 ~ 7학기 재학생(휴학생 신청불가)
  • 별도의 승인기준 및 절차는 없습니다.
이수학점
  • 12~15학점(각 전공별로 상이하므로 마이크로전공별 교육과정 안내사항을 참조)
  • - 하단의 마이크로전공 안내사항

    - 본교 홈페이지> 대학/대학원> 마이크로전공> 전공별 교과과정

이수방법
  • 관심 있는 마이크로전공을 신청한 후 해당 교육과정의 교과목을 수강합니다.
  • 교육과정별로 제시하는 이수학점 수를 모두 이수해야 합니다.
  • 이수 신청 전 이수한 과목은 마이크로전공 이수학점으로 인정합니다.
  • 이수자가 소속된 전공의 과목은 해당 전공의 이수구분에 따라 ‘전필’ 또는 ‘전선’ 으로 표기되고, 타 전공과목은 ‘일선’ 으로 표기됩니다.
이수인정
  • 이수인정 기준을 충족하여 이수를 완료하면 마이크로전공 이수증을 발급합니다.
  • 이수인정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더라도 졸업요건을 충족하면 졸업할 수 있습니다.
  • 졸업요건을 충족했지만, 마이크로전공을 이수하지 못한 경우 졸업유보 신청을 한 후 이수를 완료할 수 있습니다.
유의사항
  • 제1전공/복수전공/부전공과 중복학점은 인정되지 않습니다.
  • (이수 예)
  • ①심화전공 이수자: 심화전공학점(54학점) + 마이크로전공 이수학점(12~15학점) 추가
    ②복수전공 이수자: 제1전공(42학점) + 마이크로전공 이수학점(12~15학점) 추가
       + 복수전공(42학점, 또는 연계융합전공의 경우 36학점)
  • 중복학점 인정이 되지 않으므로, 필요시 추후 졸업요건 충족을 위해 교과목의 이수구분 변경신청을 해야 합니다.
기타
  • 진출분야에 해당하는 실무, 직무 수행에 도움을 주는 교육과정이므로 가급적 3학년 이후 신청 및 이수를 권장함
  • 단기에 이수해야 학습효과가 좋으므로 가급적 1년 이내 이수를 권장함
문의처
담당부서 문의사항 연락처
학사지원팀
(학생누리관 2층)
수업(전공) 02-970-5022
수업(교양) 02-970-5032
학적 02-970-5025
졸업 02-970-5021